브로드만 스피커 F1 전시품 ( 한쪽 모서리 쪽 수리제품)

상품 옵션
소비자가
10,000,000원
판매가격
2,900,000
적립금
29,000 원
원산지
비엔나
제조사
brodmann
브랜드
brodmann
수량
수량증가 수량감소

Festival Line 독창적인 혼 레조네이터를 채용한 모델 측면에 우퍼를 배치한 슬림한 몸체로 파위풀하고 풍부하며 자연스러운 울림을 들려준다. 오스트리아 브랜드로 저음역부에 저명한 음향학자인 한스도이치씨가 개발 특허를 사진 독창적인 모델입니다

[인터뷰] LOVE at first SOUND
BRODMANN Speaker - Di Bernd Gruhn

• 작성자 : HIFICLUB   • 등록일 : 2015년 3월 27일 금요일  • 조회수 : 173 •
 
 
하이엔드 오디오를 공부하다보면 수 많은 제작자를 알게 된다. 그리고 대부분의 명기들은 단 한 사람의 완벽한 제품을 만들기 위한 집요하고도 어느 누구도 따라갈 수 없는 열정을 통해 만들어지는 경우가 많은 것을 보게 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한 사람의 하이엔드 오디오를 향한 평생의 헌신을 통해 만들어진 회사가 있다. 바로 Brodmann Speaker이다.
 
 
 
 
 
logobig.jpg
 
 
 
 

아마 음악 전공을 하거나, 음악 전공을 하는 자녀가 있다면 한번쯤 본 적 있는 세계적인 명성의 Brodmann Piano와 함께 약 50여년의 역사를 가진 전통있는 스피커 제조 회사이다. Brodmann Speaker는 음악의 본고장인 오스트리아 빈에서 아주 좋은 음악적 영감들을 자양분으로 삼아 성장해왔다.
 
Brodmann Speaker의 한국 런칭을 위해 Brodmann Speaker의 CEO 디 베어운트 그룬(Di Bernd Gruhn)을 만나 Brodmann Speaker에 대한 설명과 앞으로의 방향과 목표에 대해 들어볼 수 있었다.
 
 
 
1.jpg
 
 
인터뷰어 : 하이파이클럽
인터뷰이 : 디 베어운트 그룬(Di Bernd Gruhn)
 
 

- 만나뵙게 되어 반갑습니다. 혹시나 Brodmann Speaker를 모르는 분들을 위해 간단히 자기 소개와 회사 소개를 부탁드립니다.

DBG: 안녕하세요. 만나뵙게 되어 반갑습니다. 저는 Brodmann Speaker의 CEO인 Di Bernd Gruhn(이후 DBG로 축약) 입니다. 제가 Brodmann Speaker에서 일하게 된 계기는 참 긴 스토리가 있습니다. Brodmann Speaker를 이끌어가는 산증인이라고 할 수 있는 Hans Deutsch(이후 HD로 축약)는 아주 우연한 기회를 통해 만나게 되었습니다.
 
1980년 제가 18살이었던 때에 HD를 만났는데, 그 당시 오디오에 관심을 가지게 된 저는 열심히 아르바이트를 했고, 돈을 모은 다음, 오디오를 사려고 짤츠부르크의 모든 오디오샵을 다니면서 음악을 들어보던때였습니다. 그러던 중, HD의 샵에 들르게 되었고, 거기에서 정말 소리가 아름다운, 저의 마음을 완전히 사로잡는 한 스피커를 듣게 되었습니다. 매니저에게 이 스피커를 꼭 사고 싶다고 하니, 매니저가 "이건 당신이 가진 돈으로는 살 수가 없을 정도로 비싼 제품이다." 라고 말을 하더라구요. 그럼 이 시스템을 제작한 사람의 주소를 달라고 그래서 HD의 주소를 받아 방문하여 많은 이야기를 나누었고, 그 후 HD와 친구가 되었습니다.
 
계속적으로 HD와 좋은 관계를 맺고 있었고, 저는 물리학 전공으로 대학을 졸업하고 지멘스에서 일하기도 하고, 나중에는 기술 컨설팅 회사를 차려 일하다가 HD가 함께 일하자는 요청을 받아 Brodmann Speaker에서 일하게 되었습니다.
 
이렇게 1980년부터 HD와 친분을 가져 Brodmann Speaker의 개발과정에서 HD가 얼마나 연구하고 노력하며 스피커를 제작한 것을 알기에 Brodmann Speaker의 모든 제품을 제작한 HD처럼, 저 또한 엄청난 애착을 가지고 제품 개발과, 홍보와 판매를 하고 있습니다.
 
Brodmann Speaker는 음악의 도시 오스트리아 빈에 소재한 스피커 전문회사입니다. 세계적인 피아노 메이커인 Brodmann Piano와 함께, Hans Deutsch가 개발한 독자 특허 기술인 "Horn Resonator(혼 레조네이터)"에 의해 탁월한 사운드를 내는 스피커 전문 제조 회사입니다.
 
 
4.jpg


 
- 홈페이지에 나온 Brodmann의 역사에 Maestro Herbert von Karajan이 Brodmann Speaker를 개발하는 Hans Deutsch를 발견하고, 진지하게 스피커를 만들어보라는 내용이 있던데 이 에피소드에 대해 자세히 알려주실 수 있으신가요? 보통 오디오 애호가들에게는 Karajan을 모르는 사람이 없을 정도로 유명한 지휘자인데 어떻게 이런 일이 생기게 되었나요?
 
DBG: 사실 HD는 음악을 전공한 성악가였습니다. 그는 유럽 음악의 중심인 짤츠부르크 빈 모짜르테움 학교에서 공부하면서 자신이 취미활동으로 하던 오디오 제작도 하고 있었죠. 마에스트로 카라얀이 언젠가 오페라를 진행하면서 HD와 만남을 가지고 되었고, 세상에 재능있는 성악가는 많지만, 너처럼 음악에 재능이 있으면서 스피커를 제작할 수 있는 사람은 드물다고 하며 스피커를 제작해보라고 진지하게 설득했었다고 합니다. 그래서 그 뒤, 도이치 그라모폰에서 녹음할 때 '마이크로포니스트(녹음시 마이크 셋팅을 하는 사람)'로 일을 하기도 하면서 점점 오디오 세계에 발을 들어놨다고 합니다.
 
 
7.jpg
 
▲ Brodmann Speaker의 개발을 이끌어 가는 Hans Deutsch
 
 
 
또한 HD는 스피커를 만들기에 학문적으로 가진 지식이 부족하다는 생각으로 독일 아헨의 음향학교에서 스피커 제작에 필요한 공부들을 했습니다. 그런데 딱 2년만 공부하고 그만두었는데, HD말로는 2년정도 정말 스피커를 제작하기 위해 필요한 지식만 공부하였고, 학위는 필요하다고 생각하지 않았기에 2년만에 중퇴를 했다고 합니다.
 
 

- 이번에 한국을 방문하시게 된 계기가 Brodmann 제품의 한국 런칭을 위해서라고 들었는데 Brodmann 제품에는 어떤 라인업이 있는지 소개 부탁드립니다.

DBG: Brodmann Speaker에는 크게 3가지의 라인업이 있으며, 이에 부가적으로 벽에 장착할 수 있는 INWALL 시리즈가 있습니다. 소비자가 원하는 커스터마이징 색깔로 선택하여 제작이 가능합니다.
 
먼저, 뮤직러버를 위한 entry 시리즈인 Festival 시리즈에는 톨보이형인 F1 / F2와 북쉘프형인 FS, 그리고 벽에 설치할 수 있는 FW가 있습니다.
 
 
페스티벌.jpg

▲ Brodmann Speaker Festival Series F1 / F2 / FS
 

두번째는 엘레강스한 Vienna Classic  시리즈가 있습니다. 모두 톨보이형으로 VC1 / VC2 / VC7이 있습니다. 또한 Vienna Classic 시리즈는 대형 앰프가 필요하지 않고, 중간 레벨의 앰프로도 울려줄 수 있는, 드라이빙이 쉬운 스피커입니다.
 
 
비엔나.jpg
 
▲ Brodmann Speaker Vienna Classic Series VC1 / VC2 / VC7

 
세번째는 Brodmann Speaker에서 최고의 라인인 Joseph Brodmann Signature 시리즈가 있습니다. 모두 톨보이형으로 JB155 / JB205가 있습니다.
 
 
브로드만시리즈.jpg
 
▲ Brodmann Speaker Joseph Brodmann Series JB155 / JB205 

 

-  Brodmann 스피커는 1970년 설립 이 후 약 45년이라는 세월동안 스피커 제작에 종사해왔다는 것이 정말 놀랍습니다. 이 기간 동안 축적된 기술적 노하우가 상당할 것 같은데요, 대표적인 기술은 어떠한 것이 있을까요? 설명 부탁드립니다.

DBG: Brodmann Speaker는 다른 스피커와 다르게 외관에서부터 유닛의 개수가 다르고, 커다란 베이스 유닛이 없는 것이 특징입니다. 일반적인 스피커는 트위터, 미드레인지 및 베이스 유닛을 가지고 있고, 베이스 유닛을 사용하여 베이스 리플렉트(Base Reflect : 저음 반향)을 사용하는데, 이러한 베이스 리플렉트의 사용은 레조넌스 피크(Resonance Peak : 공명 피크)가 생긴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스크린샷 2015-03-25 오후 3.19.23.png
 
▲ Brodmann Speaker Joseph Brodmann Series JB205 
 
 
이러한 단점을 고치기 위해 특별하게 베이스 유닛을 사용하는것이 아니라 스피커 옆면이 4mm정도 틈이 있는것을 통해 베이스의 효과를 내는 '혼 레조네이터(Horn Resonator)'라는 특허 받은 기술을 Brodmann Speaker에 사용합니다. 이 기술은 내부에 트랜스미션 라인(사운드 전달 장치)를 내부에 가지고 있으며, 자연적인 로우 패스 필터(Low pass filter)와도 같은 역할을 합니다. 만약 베이스가 많은 음악을 재생하여 틈 앞에 라이터를 켜고 있으면 불이 왔다 갔다 할 정도의 공기 이동이 생깁니다.
 
 
 
스크린샷 2015-03-25 오후 3.26.09.png

▲ Brodmann Speaker의 "Horn Resonator"기술로 스피커의 옆면(빨간선)이 4mm 떨어져 있다.
 
 
 
 
이 기술도 처음에는 많은 시행착오를 겪었습니다. 이전에 이 기술을 사용하였을때는 스피커의 정면 윗부분에 공간을 두어 혼 레조네이터 기술로 사용했었는데요, 점차 기술을 개량하고 발전시켜 현재는 스피커의 옆면에 수직적인 공간을 두는 것으로 이 기술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또한, 보통 스피커 내부에는 댐퍼 물질이 들어갑니다. 이렇게 댐퍼가 들어간다는 것은 무엇인가 잡음이나 왜곡이 있기 때문에 댐퍼가 들어가는데요, Brodmann Speaker의 내부에는 아무것도 없이 완전히 비어있습니다. 이렇게 완전히 비어 있다는 건 어떤 조정이나 변화가 필요가 없다는 뜻이며, 실제적으로도 레조넌스 피크가 없습니다.
 
예를 들어 피아노가 소리를 내는 방식을 보면 굉장히 간단한 방식으로 되어 있습니다. 연주자가 피아노 건반을 치면 그와 동시에 건반과 연결된 햄머가 피아노 내부의 현을 때리게 되고, 그 소리가 울려 청취자에게 전달되게 됩니다. 피아노가 이렇게 간단히 소리가 나는 것과 마찬가지로 스피커도 그렇게 울려야된다고 생각하는 것을 통해 아주 심플한 내부의 설계로 스피커가 만들어지게 됩니다. 물론 모든 설계는 수 없는 테스트와 조정을 통해 만들어지는 것입니다.
 
 
 
8.jpg

▲ Brodmann Speaker의 "Horn Resonator"기술로 퍼지는 사운드의 모양

또한, 유닛에서 Membrane(멤브란: 유닛 내부에서 진동음을 내는 막)은 아주 견고하고 단단하게 만들어져야만 하는데, 만약 멤브란이 움직이게 된다면 제대로 유닛을 울려줄 수 없고, 왜곡이 생기게 됩니다. 이렇게 견고하고 단단하게 만들어지기 위해 카본 파이버와 종이를 사용해서 만들고 있으며, 큰 베이스 유닛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멤브란이 작은 면적을 가지고 있어 멤브란이 구부러져 왜곡을 일으킬 수 있는 면적이 없어 왜곡이 엄청나게 줄어들게 됩니다. 또한 4mm의 틈은 멤브란의 역할까지 하여 아주 효율적인 사운드를 내어줄 수 있습니다.
 
실제로 테스트를 해보면 레조넌스 피크가 매우 작고, 큰 베이스 유닛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빠른 스피드를 제공합니다. 또한, 작은 유닛은 저역을 만들 수는 있지만, 큰 공기의 흐름을 만들 수 없는 단점을 여러 개의 유닛을 사용하는 것을 통해 저역을 만들어 내는 동시에 4mm의 틈을 통해 베이스의 공기의 흐름을 만들어내고 있습니다.
 
 
 

- Ignaz Bösendorfer의 스승인 Joseph Brodmann이라는 브랜드를 통해 피아노를 제작 및 판매하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사실 저는 이전에 음악을 전공했었는데, 개인적으로 Brodmann 피아노를 한번 쳐 보고 싶은 마음이 드네요. 혹시 스피커를 제작하는것에 있어서 피아노 제작 과정에서 생긴 노하우를 적용한 것이 있나요?
 
DBG: 보신거와 같이 저희가 제작하는 제품중에는 피아노 제품군도 있습니다. 피아노 제품군 역시 굉장히 전통있는 역사와 엄청난 제품 퀼리티로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받고 있는데요, 피아노를 제작하면서 터득한 노하우는 제품 외관의 마감입니다. 사실 아주 미세한 현미경으로 보게 되면 매끈한 외관도 오렌지 껍질의 표면처럼 울퉁불퉁한데요, 이러한 부분까지 없도록 최소 6주에서 7주의 피아노 마감 공정을 거치게 되며, 이렇게 탄생된 스피커의 옆면은 세계 최고의 피아노 마감처럼 아주 매끈하고 아름다운 광택을 내게 됩니다.
 
 
피아노.jpg
 
▲ Brodmann Piano Conservatory Series

 
 
10.jpg

▲ Brodmann Speaker Festival Series F2 White 버전(어떤 색깔로도 제작이 가능하다고 한다)
 
 
저희 스피커를 바라보면 마치 거울 보는 것 같이 아주 매끈한 표면을 가지고 있습니다. 만약 Brodmann Speaker를 가지게 된다면 세계 최고의 마감을 가진 스피커를 가지는 것과 같습니다. 또한 저희는 대량 생산을 하는 것이 아닌, 이전부터 만들어 온 방식대로 핸드메이드로 모든 제품을 제작하고 있습니다.
 
 

 
-  Brodmann Speaker 제품 중 가장 유명한 제품은 무엇이며, 타사와 비교해서 어떤 사운드를 내는지 궁금합니다. 이 제품의 특징에 대해 소개 부탁드립니다.  

DBG: Brodmann Speaker에서 최고의 라인인 Joseph Brodmann Signature 시리즈 중 JB205가 있습니다. 이 제품에 대한 한가지 일화가 있습니다. 회사와 굉장히 친한 빈의 유명한 음악학교에 피아노 교수로 있는 지인이 있습니다. 이 지인이 음반 녹음을 한 후, 회사에 놀러온적이 있는데, 녹음한 음반을 Joseph Brodmann Signature JB205에 플레이 하였는데, 정말 자기가 녹음한 그 피아노 사운드라고 펄쩍 뛰며 기뻐했던적이 있습니다.
 
 
headerjb205_2.jpg

▲ Brodmann Speaker Joseph Brodmann Series JB205
 
사실 좋은 스피커일수록 피아노가 가진 본연의 음색을 내주어야하는데, 그러한 점에서도 JB205는 "Pure Voice System(순수한 음색 재생 시스템)"이라는 기술을 사용하여 최상의 피아노 사운드 뿐만 아니라, 각 음반에서 녹음된 음악 본연의 사운드를 아주 자연스럽게 내어줍니다.
 
또한, 왜곡이 없는 완벽한 크로스오버를 사용하여 "No phase distortion"(위상차 왜곡이 없는 것)을 통해 완벽한 사운드를 낼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 Brodmann 제품들은 타사 제품과는 차별화된 부분들이 많은 것 같네요. 이 제품 말고도 신제품들이 기대가 되는데요. 혹시 앞으로 나올 신제품이 있다면 간단히 설명 부탁드립니다.

DBG: 얼마 전 HD에게 컴퓨터용 스피커를 만들어달라고 농담으로 얘기한적이 있습니다. 그런데 그 얘기를 하고 난 얼마 후, 나에게 그 컴퓨터용 스피커를 보여주고 들려주었습니다. 생각보다 퀼리티가 너무 좋아서 좀 더 제품을 발전시켜서 출시할 계획에 있습니다. 이렇게 라이프 스타일을 중시하는 소비자의 욕구에 맞춰 다양한 제품을 개발할 예정에 있습니다.
 
또한, 이제까지는 스피커 제품만을 제작하였지만, Brodmann Speaker 뿐만 아니라, 다른 여러 제품들과도 잘 매칭되는 앰프를 제작할 계획까지 있습니다. 
 
 

- Brodmann Speaker의 스피커를 만들 때 하는 가장 중요한 철학은 무엇인가요?

DBG: 우리가 만든 스피커의 외관 디자인은 순전히 사운드를 위한 디자인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Brodmann Speaker는 굉장히 얇고 우아한 디자인을 가져 디자인에 굉장한 신경을 많이 쓰는줄 알고 있는데, 우리는 정말 사운드에만 신경을 쓰는 설계를 하고 있고, 이렇게 사운드에 신경을 쓰는 동시에 세계 최고의 피아노 마감을 통해 아름다운 외관을 가질 수 있었습니다.
 
많은 오디오 제조사들은 과학적인 기술을 바탕으로 제품을 만들었다고 소개하지만 대부분이 그러한 기술에 대해 제대로 소개하지 않는 것이 많습니다. 하지만 Brodmann Speaker는 완전히 과학적이고, 물리학적인 연구 개발을 바탕으로 제품을 만들기를 원하고 그렇게 소개하고 있습니다.
 
 
 
트위터 테스트1.jpg
 
▲ Hans Deutsch가 새로운 트위터를 테스트 하는 모습

우리는 항상 우리의 제품이 완벽하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대신에 계속해서 완벽한 제품을 만들기 위해 노력합니다. 이러한 생각으로 세계 최고의 스피커를 만들기 위해 지금도 밤낮으로 연구개발에 매진하고 있습니다. 현재 75세의 고령의 나이에도 불구하고 HD는 아직도 하루에 14시간 이상을 연구하고 제품을 만드는 것을 보면 최고의 스피커를 만들기 위해 대단한 열정을 가지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 앞으로 한국을 시장에서 어떻게 판매가 되는지도 궁금합니다. 세일즈 방향과 마케팅에 대해서도 간략히 설명 부탁드립니다. 
 
DBG: 현재 아시아 시장에서 인도네시아만 빼고, 대부분의 아시아 나라에서 Brodmann Speaker가 판매되고 있습니다. 한국에서도 탑오디오와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성공적으로 런칭될 수 있도록 협의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다양한 라인업으로 인사드릴 저희 Brodmann Speaker 많이 기대해 주시길 바랍니다.
 

 
- 향후의 계획들이 기대가 되는군요. 바쁘신 와중에 시간을 내주셔서 감사합니다.
DBG: 감사합니다.
 
 
 
5.jpg

 
서두에서 설명하였듯이 Hans Deutsch라는 한 사람에 헌신에 의해 시작된 스피커의 개발은 놀라운 사운드를 내는 스피커가 세상에 태어나는 것으로 우리에게 크나큰 만족감을 주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Brodmann Speaker는 스피커 내부에 어떠한 것도 넣지 않고 "Horn Resonator"라는 기술과 과학적인 설계를 통해 자연적인 사운드를 들려준다. 청취자로 하여금 음악을 들으며 감동할 수 있는 그러한 스피커라는 느낌을 받았다.
 
Brodmann Speaker의 뛰어난 마감과 디자인, 특별한 기술로 시대의 흐름에 따라 라이프 스타일에 맞는 제품과 앰프까지 출시할 예정이라고 하니 앞으로의 그 행보가 참으로 기대가된다.
 

Festival Line

 

Model F1

Frequency Range: 40 - 25,000 Hz ±3 dB
Acoustical Active 130 Hz - 4.5 dB/oct
Electrical 1.45 kHz - 6 dB/oct
Operational Output: 2.1 Watt for 91 dB/m
Nominal Load: 55 Watt
Music Load: 110 Watt
Nominal Impedance: 8 Ohm
Dimensions (H x W x D): 929 x 170 x 228 mm
Weight: 13 kg

Forget your daily routine
and go on a dream holiday of music.

The Festival F1 is the harmonic symbiosis of fantastic sound quality and a timeless elegant design.

 
배송은 주문 당일 배송을 원칙으로 하며 받으실 때까지 약 2-3일 정도 소요됩니다. (도서 산간지역 3-4일 소요)
•제품 수급에 의해 지연이 되는 경우 별도의 연락을 드린 후 배송을 하여 드립니다.
_ 전 제품 5만원 초과 상품은 배송비가 무료입니다.
(중고/전시품란의 일부상품 제외. 5만원 이하 상품은 3,000원의 배송비가 추가됩니다. )
_ 전제품 품질보증서가 들어있는 정식 수입원 제품입니다.
(일부 상품은 정식 수입품이지만 시리얼넘버로 정품관리를 하기 때문에 보증서가 들어있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전자상거래법 제17조 제1항」 에 의거하여 소비자의 단순변심으로도 7일 이내 청약철회가 가능합니다.
_제품을 설치하였거나 개봉후에는 반품 및 교환이 불가능합니다.
_제품 자체에 결함이 있을 경우 100% 교환 및 환불이 가능합니다.
_특별할인판매 및 기타 이벤트 판매의 경우 현금 주문은 24시간 이내에 입금되지 않으면 주문은 자동취소됩니다.
제품 개봉 및 설치를 하셨을 경우에는 공정거래위원회 표준약관 제15조 2항에 의거하여 교환 및 반품/환불이 불가능합니다.

 
review 리스트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
QnA 리스트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
등록된 문의가 없습니다.
비밀번호 확인 닫기